336x280(권장), 300x250(권장), 250x250, 200x200 크기의 광고 코드만 넣을 수 있습니다.
  2019.06.28. 11:00
  성실멤버  

정답; 상담서비스> 이백만 >삼천만




https://toss.im/_m/Ht4igoxx





#행운퀴즈 #toss #토스정답 #토스삼성화재 #토스해외여행 #토스해외여행보험 #든든형 #구조송환비용

[출처] 토스 해외여행보험!! 토스행운퀴즈 ! 정답 (실시간)


#행운퀴즈 #toss #토스정답 #토스삼성화재 #토스해외여행 #토스해외여행보험 #든든형 #구조송환비용


WRITTEN BY
부르스리1
가성비의, 가성비를 위한, 가성비에 취하는 20대 청년의 발자취 브루스리

,
336x280(권장), 300x250(권장), 250x250, 200x200 크기의 광고 코드만 넣을 수 있습니다.

완전공분산모형에서의 분산 구하기

예전에 중고딩때 배웠던 인수분해 (a+b)제곱과 같다 = a제곱 + 2ab + b제곱

포트폴리오 표준편차 제곱(분산) = A주식 투자율제곱 X A주식 표준편차 제곱 + 2 X A주식 투자율 X B주식 투자율 + B주식 투자율제곱 X B주식 표준편차 제곱

 

문제에서 '효율적 포트폴리오 A~' 이렇게 나오면 포트폴리오 A는 CML(자본시장선) 위에 있다는 뜻이다. ( 시장포트폴리오와의 상관계수 1)

 

베타 1짜리 투자자산의 수익률은 시장 포트폴리오의 수익률과 같다.

 

자본시장선인 CML은 가장 효율적 투자집합의 집합을 선으로 나타낸것 -> CML보다 수익률이 높은 투자집합 존재 불가능,  CML 선 상에 있거나 아니면 CML보다 밑에 있어야함. (수익률 같거나 낮아야함)

 

시장이 균형이면 모두 주식시장선(SML) 상에 존재

시장이 불균형이면 주식시장선(SML) 위, 아래에도 존재

 

문제에서 CAPM 성립한다. = 시장이 균형 상태이다. = 차익거래가 불가능하다.

 

잔차의 분산 -> 비체계적 위험

 

자본시장선(CML) 상의 시장포트폴리오는 어떤 비효율적 포트폴리오보다 위험보상비율(REWARD TO VARIABILITY RATIO)이 크다.

 

균형상태 = 초과이익을 낼 수 없는 상태

 

무위험 자산과의 상관관계, 공분산은 0이다.

 

CAPM이 성립하는 경우의 적절한 위험척도는 표준편차가 아니라 체계적 위험(베타)이다.

= CAPM이 성립하면 표준편차는 쓰레기다!!(표준편차는 체계적위험 + 비체계적위험 이기 때문)

 

자산 A가 CML(자본시장선) 상에 존재하면 이는 A가 체계적 위험으로만 구성되어 있다는걸 의미하고 이때 A의 표준편차는' A의 베타 X 시장 포트폴리오 표준편차'를 통하여 구할 수 있다.

 

무위험자산이 존재하지 않더라도 CAPM은 성립한다. (제로베타 포트폴리오 구성을 통해)


WRITTEN BY
부르스리1
가성비의, 가성비를 위한, 가성비에 취하는 20대 청년의 발자취 브루스리

,
336x280(권장), 300x250(권장), 250x250, 200x200 크기의 광고 코드만 넣을 수 있습니다.

[가성비 CPA] 재무관리 김민환 {자본자산가격결정모형}CAFM,케펨- 김종길 잼관, 회동 잼관, CTA 잼관,CPA 잼관,재무관리 1타,나무경영, 우리 경영, 위너스 경영

 

분산 - 편제평 - 편차 제곱의 평균(기대값)

공분산 - 서편제평 - 서로 다른 편차 제곱의 평균(기대값)

즉 자기 자신과의 공분산 = 분산

 

평균은 과거 데이터의 평균 /  기대값은 미래 데이터의 평균 -> 잼관에서는 기대값이 중요. 미래 수익율 구하는게 핵심 줄기이기 때문에

 

주주가 부담하는 위험

1. 영업위험 / 2. 재무위험

 

시장모형에서 출제 이슈가 되는건 위험(분산)쪽임

 


WRITTEN BY
부르스리1
가성비의, 가성비를 위한, 가성비에 취하는 20대 청년의 발자취 브루스리

,